3-tier-architecture

    [AWS] 3-Tier-Architecture 구축 #2 - VPC

    [AWS] 3-Tier-Architecture 구축 #2 - VPC

    아래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AWS] 3-Tier-Architecture 구축 #1 - 설계 Django로 만든 프로젝트를 AWS에서 3 Tier Architecture로 구현하는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먼저 3 Tier Architecture에 대해 알아보자. 3 Tier Architecture란? 애플리케이션을 Web Server, Application Server, Database Server jjung0326.tistory.com 1. VPC 생성 계획한 IP 대역에 맞게 VPC를 생성해준다. 2. Subnet 생성 계획한 서브넷에 맞게 서브넷을 생성해준다. 예시로 2개를 띄웠지만, 8개 모두에 대해 생성해주었다. 이때 가용영역을 아키텍처와 같이 a와 c로 나누어 생성해주어야한다. 서브넷..

    [AWS] 3-Tier-Architecture 구축 #1 - 설계

    [AWS] 3-Tier-Architecture 구축 #1 - 설계

    Django로 만든 프로젝트를 AWS에서 3 Tier Architecture로 구현하는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먼저 3 Tier Architecture에 대해 알아보자. 3 Tier Architecture란? 애플리케이션을 Web Server, Application Server, Database Server의 3계층 구조로 나누어 운영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계층 설명 - Web Server (프레젠테이션 계층)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일반적으로 HTML, CSS, JS로 작성된 프론트엔드단을 띄우게 된다. - Appliation Server (애플리케이션 계층, AP 계층, WAS 서버)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기능들을 가공하고 처리해주는 계층이다. DB와 상호작용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