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TCP/IP] 응용 계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4PKp1%2FbtsbUpHLGKT%2FAAAAAAAAAAAAAAAAAAAAADFhDntE3sOkXmGT2kV0vMedmaTNftqBRSsW60bw6GrI%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dLKMv50H6BMVVPVkLSD61lQQLy4%253D)
[TCP/IP] 응용 계층
응용(애플리케이션)계층의 특징과 애플리케이션 TCP/IP 모델의 4계층 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응용 계층은 통신의 목적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서비스의 종류나 동작 방식 등을 결정한다. 따라서 응용 계층의 역할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구현한다. 따라서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계층이지만, 나머지 3개의 하위 계층은 사용자가 평소 의식하지 않고 당연하게 사용하는 인프라 단의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 전송은 나머지 3계층에서 알아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데이터 전송을 신경쓰지 않고 서비스 구현에 집중할 수 있다…. 응용 계..
![[TCP/IP] 전송 계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GLjLt%2FbtsbVcnTwSI%2FAAAAAAAAAAAAAAAAAAAAAF0Qm0NLJP0NTZ6W-mqzp4r7-uh_hSmu13wUaJr-06v3%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ZAQkBwBGJd5YRd2Bva%252BHZ0VFr6g%253D)
[TCP/IP] 전송 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역할 하위 계층인 인터넷계층은 최적의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수신지 컴퓨터가 인터넷에 존재하는지, 수신지 컴퓨터가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전송 과정에서 패킷이 손상되거나 유실되지는 않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신경쓰지 않는다. 즉 IP 프로토콜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 (Best-effort delivery service)를 하지만, 패킷의 전송 순서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비신뢰형 서비스(unreliable service)라고도 한다. 패킷이 전송 과정에서 아무 문제 없이 제대로 수신지 컴퓨터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전송 계층이 담당한다. 또한 데이터는 수신지 컴퓨터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수신지 ..
![[TCP/IP] 인터넷 계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n3nLT%2FbtsbVfkA0Co%2FAAAAAAAAAAAAAAAAAAAAAD9fZZRIg-lB5yXEgixH6miHJ5o32BGpnhnr7DDkfz4v%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fBqJmQ%252BedqiQjSvMJY4NUvhutug%253D)
[TCP/IP] 인터넷 계층
인터넷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다음 그림의 1번과 2번사이, 3번과 4번 사이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있으므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1번과 4번 사이에 통신을 하려면 인터넷 계층의 통신이 필요하다. 인터넷 계층의 통신은 인터 네트워킹(Inter networking),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인 라우터가 인터넷 계층의 역할을 구현하는 핵심 네트워크 장비이다. IP 프로토콜 IP프로토콜은 인터넷 계층에서 데이터가 수많은 라우터를 거쳐 수신지를 찾아갈 때, 길을 잃지 않고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IP프로토..
![[TCP/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l0lOI%2FbtrSq8dOsok%2FAAAAAAAAAAAAAAAAAAAAAMRF7kcLIwiHCehCxyD7WmUQbT3_SnLZeruZsqRt5GhF%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qZhZk3DZnT1iwiXLjesyIW8Ue1E%253D)
[TCP/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 TCP/IP 모델 최하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은 인접한 네트워크 기기 간에, 전기신호나 전파와 같은 물리적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위의 그림 1에서 네트워크 1 내에 있는 1번 PC와 2번 노트북은 랜 케이블과 스위치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1번 PC와 2번 노트북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기능만으로 가능하다. 스위치가 자신과 연결된 기기들의 물리 주소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1번 PC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2번 노트북으로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 속한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로는 랜카드(NIC), 스위치, 무선 AP등이 있다. 이런 하드웨어를 랜 케이블 같..